프로토콜 통신하기 위한 규칙을 프로토콜이라 한다. OSI 모델이란? 데이터의 송수신은 컴퓨터에서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거다. 이때, 컴퓨터 내부에서 여러 가지 일을 하는데, 이런 일을 일곱 개 계층이 나눠서 한다. 그 일곱개 계층이 OSI모델이다. 통신할때 데이터는 맨 위의 응용계층에서 순차적으로 아래 계층으로 전달된다. TCP/IP 모델이란? OSI 7계층을 4계층으로 바꿔서 생각하면 더 이해하기 쉬운데 이 4계층을 TCP/IP 모델 이라고 한다. TCP / IP 1 계층 :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Network Access Layer) - OSI 7 계층의 1, 2 계층에 해당 - MAC, LAN, 패킷망 등에 사용 - 프로토콜 : Ethernet, PPP, Token Ring TCP / IP ..
1. LAN (Local Area Network) :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를 랜(LAN)이라고 한다. 2. WAN (Wide Area Network) -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에 구축된 네트워크를 WAN(왠)이라고 한다.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 이다. * 인터넷서비스 제공자(ISP)는 인터넷 상용 서비스 사업을 하는 KT, U+ 같은 사업자를 말한다.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 : 모든 컴퓨터는 0과 1로만 다루는데, 그 0과 1의 집합을 디지털데이터 라고 한다. - 0과 1의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를 비트( bit ) 라고 한다. - 8비트는 1바이트가 된다. - 키보드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건 숫자와 문자의 대응표를 미리 만들어 두었기 때문이다. - 이 대응표를 문자 코드(character code)라고 한다. - 문자 코드 중 하나인 ASCII(아스키)코드를 보자. 아스키코드는 알파벳, 숫자, 기호 등을 다룰 수 있는 기본적인 문자 코드이다. 즉, 키보드에서 C키를 누르면 컴퓨터로 문자 코드가 전달되고, 컴퓨터는 그 키에 대응하는 문자 코드인 67을 확인하고 화면에 C를 표시하는 것이다.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
- 웹 브라우저에는 사진과 문자를 보여주기 위해 필요한 규칙이 있다. - 그 규칙에는 패킷(packet)을 사용한다. - 패킷은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을 말한다. - 큰 데이터가 있더라도 작게 나누어서 보내는게 규칙이다. -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그 데이터가 대역폭을 너무 많이 차지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위험이 있다. - 목적지에서는 패킷을 원래 사진대로 되돌리는 작업을 해야 한다. 근데 순서가 제각각 보내지기 때문에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패킷을 보낼 때 각 패킷에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서 보낸다. 그래서 늦게 도착한 패킷도 원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는 것이다. 그러고나서 패킷을 정렬하면 원래의 사진으로 보여진다. 대역폭(bandwi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