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1 , TextNode를 생성하여 body 연결 테스트 결과
window.onload 실행순서 Process-1 Process-2 실행결과를 확인해보면 HTML부분을 다 읽고나서 onload함수가 실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순서 : Process -1 ---> Process -2 ---> onload function()
1. ---> 결과가 a c b 로 나온다.함수중에는 웹 브라우저에 처리를 부탁하는 함수가 있다. 타이머 함수와 웹 요청은 웹 브라우저가 처리하고 처리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자바스크립트에게 알려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함수는 현재 단위가 끝나기 전에는 실행되지 않는다. 2. ---> 결과가 0,1,2가 아닌 3,3,3 이 출력된다.이건 setTimeout 함수를 호출하는 시점이 반복문이 모두 끝난 이후이므로 발생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0,1,2 를 출력하려면 따로 변수를 복사해두어야 한다.
타이머 관련 함수 setTimeout(function, millisecond) - 일정시간 후 함수를 한번 실행 setInterval(function, millisecond) - 일정 시간마다 함수를 반복해서 실행 clearTimeout(id) - 일정 시간 후 함수를 한 번 실행하는 것을 중지한다. clearInterval(id) - 일정 시간마다 함수를 반복하는 것을 중단한다. 예시) 2초마다 실행하는 걸 10초후 setTImeout함수를 실행해서 멈춘다. hello script
조지오웰.. - 사람들이 사용하는 어휘가 줄어드는 것은 그들의 사고능력을 떨어뜨린다.
책상 이론으로만 존재하는 학문은 꿰지 못한 구슬 서말과 같다.
배열을 쉽게 반복해서 꺼낸다.
시작부분 가져오는 부분
@Autowired는 스프링의 DI에 사용되는 특별한 애노테이션이다. @Autowired가 붙은 인스턴스 변수가 있으면 태스트 컨텍스트 프레임워크는 변수 타입 과 일치하는 컨텍스트 내의 빈을 찾는다. 타입이 일치하는 빈이 있으면 인스턴스 변수 에 주입해준다. 일반적으로는 주입을 위해서는 생성자나 수정자 메소드 같은 메소드가 펼요하지만, 이 경우에는 메소드가 없어도 주입이 가능하다. 또 별도의 DI 설정 없이 필 드의 타입정보를 이용해 빈을 자동으로 가져올 수 있는데 이런 방법을 타입에 의한 자 동와이어령이라고한다.
@ContextConfiguration은 자동으로 만들어줄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설정파일 위치를지정한것이다.
@RunWith는 JUnit 프레입워크의 테스트 실행 방법을 확장할 때 샤용히는 애노테이션 이다. SpringJUnit4ClassRunner라는 JUnit용 태스트 컨텍스트 프레임워크 확장 클래 스를 지정해주면 JUnit이 테스트를 진행히는 중에 태스트가 사용할 애플리케이션 컨텍 스트를 만들고 관리히는 작업을 진행해준다.
JSON이란 무엇일까? 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으로 데이터 교환포맷의 일종이다.XML에 비해 경량화된 데이터 교환포맷으로 기존 XML이 상당히 무거운데 그 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 JSON이다.Ajax로 서버와 통신하며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데이터 교환을 쉽게 하기 위해 JSON을 사용한다. 주고 받을 수 있는 자료형은 숫자, 문자열, boolean, 배열, 객체이며기본 데이터 배열은 KEY와 VALUE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괄호로 감싼다.KEY값은 문자열이기 때문에 반드시 "KEYNAME" 이렇게 쌍따옴표를 붙여줘야 하고VALUE에는 기본 자료형이나 배열, 객체를 넣으면 된다. JSON의 기본표현 형태{ "age": 29, "name": "HIKI", "fam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