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미스란 콜백을 사용했을 때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해, ES6부터 "프로미스(promise)" 등장 프로미스는 객체를 생성(제작)하는 부분과소비하는 부분으로 나뉜다. 프로미스 제작 코드에서 '성공'과 '실패'를 확인한 후 소비 코드로 알려준다 프로미스 체이닝 then()을 사용해 여러 개의 프로미스를 연결하는 것을 '프로미스 체이닝' 이라고 한다. 프로미스는 resolve와 reject를 사용해서 성공과 실패에 대한 동작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고, 함수에 계속해서 함수를 포함시키지 않기 때문에 콜백 지옥을 벗어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예) A,B,C 각 실행 시간이 다르지만 A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B작업을 하고, 다시 B작업이 끝날 때 까지 기다렸다가 C작업을 해아 한다면? 프로미스 체이닝..
Promise : 비동기 처리 방식으로 실행된 결과의 성공과 실패를 관리한는 객체 Promise는 비동기 작업을 여러 개 수행할 때 더욱 진가가 나타난다. 그 이유는 비동기 작업이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장점 - 콜백 지옥의 문제점 해결 : 비동기 처리를 순서대로 처리할 때 콜백함수처럼 중첩할 필요가 없다. 즉, 소스를 간결하고 직관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 비동기 처리를 완료한 후 반환값 관리가 쉬움 : 비동기 처리를 종료한 후 반환값을 성공과 실패 모두 then()과 catch()에 전달된 함수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const promise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console.log('doing something...'); set..